설계지반정수 산정의 전체적인 흐름은 이전 글에서 충분히 설명드렸었죠. 아직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전 글을 한번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원지반 토사의 설계지반정수 산정방법 보러가기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 산정방법은?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도 역시 같은 방식으로 산정합니다. 다만, 풍화암의 N치는 최소 50/10(회/cm)입니다. 표준관입…
앞으로 비탈면 설계, 특히 안정성 검토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우선 여러분이 참고하실 설계기준은 [KDS 11 70 05 쌓기깎기(2020.8)] 입니다. 설계를 하다보면 기준 내에 자주 사용되는 내용은 자연스럽게 외우실 수 있을 겁니다. 오늘은 그 중에 깎기 비탈면의 표준경사에 대해서 내용을 다뤄 보겠습니다. 표준경사란? 깎기비탈면의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비용은 프로젝트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건설폐기물 처리 단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건설자원협회에서 제공하는 ‘2025년도 건설폐기물 배출지별 중간처리단가’ 자료를 바탕으로, 건설폐기물 처리비용의 견적 단가와 산출 근거를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2025년 건설폐…
우리가 흔히 밟고 지나가는 흙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가 바로 점토광물 입니다. 이 미세한 광물 입자들은 흙의 공학적 성질, 특히 역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점토광물의 기본적인 구조는 두 가지 시트, 즉 [실리카 시트(Silica Sheet)] 와 [깁사이트 시트(Gibbsite Sheet)]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점토의 비밀, 점토광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