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ENGhub
GeoENGhub

라벨이 설계자료인 게시물 표시
 2025년 하반기 적용 시중노임 단가 확인하기

2025년 하반기 적용 시중노임 단가 확인하기

1.개요 안녕하세요. Yun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자료는 2025년 하반기 적용 시중노임 단가입니다. 매년 대한건설협회에서는 상반기, 하반기 두 번에 걸쳐 건설부문 시중임금 자료…
토사 비탈면 안정검토 시리즈[우기시] - 최근 50년 일 강우량 조회 방법

토사 비탈면 안정검토 시리즈[우기시] - 최근 50년 일 강우량 조회 방법

깎기 비탈면 우기시 검토에서 침투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최근 50년 일 강우량을 조회해서 검토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료를 조회하는 방법, 내려받은 자료에서 검토에 필…
[문헌자료]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

[문헌자료]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

설계지반정수 산정의 전체적인 흐름은 이전 글에서 충분히 설명드렸었죠. 아직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전 글을 한번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원지반 토사의 설계지…
[문헌자료]원지반 토사의 설계지반정수

[문헌자료]원지반 토사의 설계지반정수

비탈면 안정성 검토의 첫걸음은 설계지반정수 를 산정하는 일입니다. 이 과정은 해당 지반이 얼마나 강한 전단강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결정하는 핵심 단계인데요. 다양한 자료…
깎기 비탈면의 표준경사 기준과 적용방법

깎기 비탈면의 표준경사 기준과 적용방법

앞으로 비탈면 설계, 특히 안정성 검토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우선 여러분이 참고하실 설계기준은 [KDS 11 70 05 쌓기깎기(2020.8)] 입니다. 설계를…
강재 운반 단가의 운반거리 결정방법

강재 운반 단가의 운반거리 결정방법

가시설 설계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첫걸음입니다. 흙막이 공사, 동바리 설치 등 다양한 공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강재의 효율적인 수급 계획은 공사비 절감과 직결됩니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크레인 선정 방법(인양 중량 계산)

안전하고 효율적인 크레인 선정 방법(인양 중량 계산)

비탈면 보강 공사에서 크레인 선정은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크레인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작업 반경, 작업 높이, 인양 중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연약지반의 명확한 판단 기준

연약지반의 명확한 판단 기준

"땅이 좀 이상한데요?" 연약지반이란 무엇일까요? 우리가 도로를 건설하거나 건물을 지으려고 땅을 파보면, 때로는 단단한 흙이 아닌 물컹물컹하거나 푹푹 빠지는 …
2025년 다운홀 시험비, 품셈과 일위대가 비교

2025년 다운홀 시험비, 품셈과 일위대가 비교

내진 설계, 왜 다운홀 시험이 필요할까? 우리가 건물을 짓거나 중요한 시설물을 건설할 때, 지진 이라는 예상치 못한 위험에 대비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튼튼한 내진 설계를 …
이전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