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 여기 땅이 물컹거려요!" 연약지반, 전문가가 알려주는 명확한 판단 기준!

"사장님, 땅이 좀 이상한데요?" 연약지반이란 무엇일까요? 🤔

우리가 도로를 건설하거나 건물을 지으려고 땅을 파보면, 때로는 단단한 흙이 아닌 물컹물컹하거나 푹푹 빠지는 지반을 마주하게 됩니다. 바로 이러한 땅을 연약지반이라고 부르는데요. 한국도로공사의 **[도로설계요령]**에 따르면, 연약지반은 주로 다음과 같은 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하수위가 높아 건설 공사 시 안정과 침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땅을 의미합니다.

  • 점토, 실트: 입자가 매우 작아 물을 잘 머금고 있어 쉽게 뭉쳐지고 약해집니다. 마치 찰흙이나 진흙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유기질토, 이탄: 식물이나 동물의 유해가 오랜 시간 동안 분해되지 않고 쌓인 흙으로, 스펀지처럼 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고 매우 압축되기 쉽습니다.
  • 느슨한 모래: 입자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 하중을 받으면 쉽게 변형되거나 내려앉을 수 있습니다.

고속국도에서의 연약지반 판단 기준

고속국도에서의-연약지반-판단-기준

도로 설계 전문가의 연약지반 판단 기준 大공개!

설계 실무에서는 시추 조사 결과를 통해 얻은 시추주상도표준관입시험(SPT)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연약지반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이면 연약지반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연약 점성토: 표준관입시험 N치가 4 이하인 경우
  • 연약 사질토: 표준관입시험 N치가 10 이하인 경우

만약 이러한 연약지반 위에 흙을 쌓거나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면, 반드시 **연약지반 설계(안정성 검토, 지반 개량 공법 등)**를 수행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더 꼼꼼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토질 & 구조물별 판단 기준! 

[도로설계요령]에서는 연약지반을 좀 더 세밀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토질 특성구조물 종류에 따른 개략적인 판정 기준을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넓게 위의 기준으로 판단하시고,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표들을 참고하여 검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토질 특성에 따른 연약지반 판정기준

토질-특성에-따른-연약지반-판정기준

구조물 종류에 따른 개략적인 연약지반 판정기준

구조물-종류에-따른-연약지반-판정기준1

구조물-종류에-따른-연약지반-판정기준2

국가 기준도 동일하다! KDS 11 30 05 연약지반 설계일반

국가 건설기준인 **[KDS 11 30 05 연약지반 설계일반]**에서도 [도로설계요령]과 동일한 표를 제시하며 연약지반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지반은 모두 연약지반으로 간주하며, 제시된 표의 값들은 최소 기준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연약지반의 판정 (KDS 11 30 05)]

① 절대적인 판정 기준은 없지만, 실무적으로 표 1.6-1 (위의 표와 동일)에 따라 연약지반을 판단하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약지반으로 판정합니다.

 ② 점성토 및 이탄질 지반에서 N값을 이용한 연약지반 판정은 신중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N값은 교란된 시료에 대한 간접적인 정보이므로, 다른 지반 조사 결과와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표 1.6-1은 최소 기준이며, 액상화 검토 필요성 및 구조물의 허용 침하량 기준 등을 고려하여 연약지반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KDS-연약지반-판정기준

수많은 경험과 연구의 결실! 

2009년 도로설계요령과 2021년 KDS 설계기준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연약지반을 설명하고 있다는 사실은 놀랍습니다. 이 하나의 표를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공 사례와 수많은 시험 결과들이 필요했을까요? 덕분에 우리는 조금 더 편리하게 연약지반을 판단하고 안전한 설계를 할 수 있게 되었으니, 정말 감사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