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지반정수 산정의 전체적인 흐름은 이전 글에서 충분히 설명드렸었죠. 아직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전 글을 한번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 산정방법은?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도 역시 같은 방식으로 산정합니다. 다만, 풍화암의 N치는 최소 50/10(회/cm)입니다. 표준관입시험대로 30cm 관입을 하기 위해서는 150회 타격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풍화암의 물성치를 계산식을 이용해 구한다면 두가지 고민이 생깁니다.
- N값을 뭘로 적용할까? 50? vs 150? vs 평균 100?
- N값으로 어떤 물성치를 계산하지? 점착력? vs 내부마찰각?
결론적으로 풍화암의 N치를 이용해 계산식에 대입하여 값은 구해볼 수 있으나 그 값은 거의 보고서 칸 채우는 용도지 신뢰할 수는 없습니다. 계산식이 사질토나 점성토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점부터 맞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 산정은 문헌자료, 인근 설계자료, 시험결과 값을 주로 비교 검토합니다.
문헌자료, 인근 설계자료, 시험 값을 비교 검토하여 선정!
단, 계산식을 사용다면 N값을 50으로 적용할 것인지 150으로 할 것인지 명시하고, 사질토로 봐서 내부마찰각 구하는 식에 적용합니다.
풍화암 관련 문헌자료
도로설계실무편람(1999)-암반의 전단강도
풍화암 : 점착력 = 100.0kPa, 내부마찰각 = 30.0˚
지반조사편람(1996)
풍화암 : 단위중량 = 20.0~22.0kN/㎥, 점착력 = 100.0~300.0kPa, 내부마찰각 = 30.0~35.0˚
한국지반공학회 학술발표회자료(1996~2003)
풍화암 : 단위중량 = 19.5~21.0kN/㎥, 점착력 = 10.0~30.0kPa, 내부마찰각 = 30.0~36.0˚
일반적인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
문헌 자료들을 보니 점착력에서 차지가 많이 나죠. 한쪽은 100~300kPa 다른 한쪽은 10~30kPa 입니다. 실제 설계에서 쓰이는 쪽은 작은 쪽이랍니다. 풍화암의 점착력은 30kPa정도가 적당합니다. 내부마찰각은 33˚정도 풍화토 보다는 큰 값을 일반적으로 적용하죠. 단위중량은 20kN/㎥ 로 제가 지금 말씀드린 것이 문헌자료만을 가지고 산정했을 때의 풍화암 물성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풍화암도 역시나 신뢰도가 높은 자료는 시험결과 값입니다. 그 다음이 인근 설계자료입니다. 그리고 방금 제가 말씀드린 일반적인 풍화암의 설계지반정수를 기억하고 계시면 분명히 설계에 도움이 많이 되실 겁니다.
풍화암 : 단위중량 = 20.0kN/㎥, 점착력 = 30.0kPa, 내부마찰각 = 33.0˚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