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비용은 프로젝트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건설폐기물 처리 단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건설자원협회에서 제공하는 ‘2025년도 건설폐기물 배출지별 중간처리단가’ 자료를 바탕으로, 건설폐기물 처리비용의 견적 단가와 산출 근거를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2025년 건설폐기물 처리 단가 안내
한국건설자원협회는 매년 건설폐기물 처리 단가를 고시하며, 이는 건설폐기물 처리 용역의 예정가격 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 주요 건설폐기물 처리 단가
-
도로, 교량, 옹벽 철거 공사
- 폐콘크리트: 29,396원/톤 (토목 구조물 해체 시 발생하는 이물질이 없는 순수한 폐콘크리트)
- 폐아스팔트콘크리트: 31,002원/톤 (포장도로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없는 순수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
- 재건축·재개발 공사 (주택·아파트 등 철거·해체 공사)
- 건설폐재류: 48,021원/톤 (가연성폐기물이 제거된 상태,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일부 포함, 폐벽돌, 폐기와, 폐토사 등 혼합 배출)
- 건설오니: 59,876원/톤 (준설/굴착/지하구조물 공사 등에서 발생, 함수율 85% 이내로 건조된 무기성오니)
- 혼합건설폐기물: 68,563원/톤 (건설폐재류에 가연성 건설폐기물이 중량 기준 5% 이하 혼합)
- 혼합건설폐기물: 168,424원/톤 (폐유리, 폐타일, 폐도자기 등 불연성폐기물에 가연성 건설폐기물 5% 이하 혼합)
- 혼합건설폐기물: 173,154원/톤 (폐보드류·폐판넬 등에 가연성 건설폐기물 5% 이하 혼합, 단 폐샌드위치판넬은 별도 단가 적용)
3. 건설폐기물 처리 단가 산출 근거
- 법규 준수: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관련 법규, 기획재정부 예규, 행정안전부 예규 등에 의거하여 산출
.
- 원가 계산: 경유가, 노임, 원부자재, 수리수선비, 소모품비, 2024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등을 반영한 원가계산 결과
.
- 포함 내역: 이윤, 일반관리비, 2차 폐기물 처리비, 폐기물처분부담금, 운반비 포함 (단, 수집운반비 및 부가가치세는 불포함)
.
- 추가 고려사항:
- 80×80cm 이상 폐기물은 별도 소할 작업 필요 시 추가 비용 발생
.
- 현장 분리, 선별 비용은 처리비에 불포함
.
- 폐아스팔트콘크리트 처리비용은 순환아스팔트콘크리트 생산단가와 다름
.
- 폐기물 성상, 지역, 물량 등에 따라 단가 변동 가능
.
- 3차 파쇄시설 기준 산정
.
- 순환골재 판매 수익 차감 단가
.
4. 결론
2025년 건설폐기물 처리비 단가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산정되며, 한국건설자원협회의 자료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건설 프로젝트를 계획할 때, 이러한 단가 정보를 참고하여 예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자료
- 실제 폐기물 처리 비용은 개별 폐기물 처리 업체의 견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별도의 견적서를 받아 비교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정보가 건설폐기물 처리비용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