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ENGhub
GeoENGhub

토사 비탈면 안정검토 시리즈[우기시] - 개요

우기 시 토사 비탈면 안정성 검토를 위한 수위 조건과 설계기준 안전율 적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만수위 조건 및 강우 침투 해석을 통한 우기 시 비탈면 안정성 검토 개요를 소개합니다.

우기시 비탈면 검토를 위해서는 수위조건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결정해야합니다. 설계기준에 제시된 수위 조건과 기준 안전율을 살펴보면서 토사 비탈면 우기시 검토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깎기비탈면 안정해석 시 적용하는 기준 안전율(KDS 11 70 05 쌓기 · 깎기, 2020)

깎기비탈면 안정해석 시 적용하는 기준 안전율(KDS 11 70 05 쌓기 · 깎기, 2020)

우기시 기준 안전율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암반비탈면의 경우

  • 수위조건 : 인장균열 또는 활동면을 따라 지하수로 포화된 높이의 1/2에 자하수 위치
  • 적용 안전율 : FS > 1.2

암반 비탈면 해석은 나중에 다루겠습니다만, 같은 Soilworks에서 암반해석 모듈로 해석을 할 때 우기시 검토를 위한 수위 조건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인장균열 기준, 수압작용영역 50%를 적용하면 암반의 우기시 검토가 되는 것입니다. 


토사 및 풍화암 비탈면의 경우 : 지하수위 결정 방법

  • 수위조건 : 조사결과, 지반 및 배수조건 등 고려하여 지하수 결정(일반적으로 만수위 적용)
  • 적용 안전율 : FS > 1.2
토사 풍화암 비탈면의 전체 활동파괴 검토

지하수위를 임의로 결정한다는 말은 실무에선 지하수위를 지표면과 일치시킨다는 말로 받아들입니다. 가장 불리한 조건이죠. 이 상태에서 안전율이 잘 나온다면 OK. 복잡하게 따지지 않고 검토할 수 있는 것이죠. 이 수위 조건에서도 위의 그림과 같이 전체 활동파괴를 검토하는 경우가 있고 아래 그림과 같이 약 3m 깊이의 얕은 파괴를 검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토사 풍화암 비탈면의 얕은파괴 검토

얕은파괴를 검토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현장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파괴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왜 그럴까요? 비가 내리면 지반은 밑에서만 수위가 차오르는게 아니라 지표면도 동시에 포화되기 때문입니다. 다음 그림을 보면서 조금 더 설명 드릴게요.

우기시 강우지표 침투 및 수위 현황

그림과 같이 비탈면에 강우가 침투하면 지표면은 강우와 직접 만나는 지점이기 때문에 포화가 일어나고 지표 아래에서는 지하수위가 상승하여 위 그림과 같은 포화존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는 얕은 파괴가 빈번히 일어나는 것이죠. 그 포화 영역을 추정하여 얕은 심도에서의 활동검토를 수행합니다. 한국도로공사 설계처 자료에 따르면 약 0.5~3.0m 심도로 포화대가 형성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토사 및 풍화암 비탈면의 경우 :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방법

  • 수위조건 : 해당 지역의 강우자료를 이용한 침투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수위로 적용
  • 적용 안전율 : FS > 1.3

침투해석을 고려하는 방법은 실제 내린 강우 데이타를 활용하여 수위를 추정하는 검토방법입니다. 간단히 검토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우데이터 선정 : 최근 50년 중 최대 일강우량을 기록한 날을 기준으로, 해당 날짜를 포함한 30일간의 강우량 기록을 모델링에 입력합니다.
  2. 침투 해석 수행 : 초기수위를 설정하고 30일간 수위 변화를  침투 해석을 통해 파악합니다.
  3. 최고 수위 적용 : 침투 해석 결과 가장 수위가 높게 나타나는 조건을 선택하여 비탈면 안정검토의 우기시 수위 조건으로 적용합니다.

이 침투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알아야 할 설계조건들이 있습니다. 각 지반의 투수계수와 불포화특성함수, 최근50년의 강우 데이터 조회해야 검토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우기시 검토에 필요한 설계조건들을 하나씩 설명하면서 결정해보는 것까지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글에서 본격적으로 만수위, 침투해석 수위를 적용하여 우기시 비탈면을 검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다음 글은 더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