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뚝기초 설계, 특히 수평 하중을 받는 말뚝의 거동을 해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실무적인 모델 중 하나인 p-y 곡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37회 토질 및 기초 기술사 시험에서도 1교시에 출제된 주제입니다. 여러분의 서브노트에 꼭 필요한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I. 개요: p-y 곡선이란 무엇인가?
1. 정의
p-y 곡선은 말뚝의 수평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특정 깊이(z)에서 말뚝의 수평 변위(y)와 이에 저항하는 지반의 단위 길이당 수평 저항력(p) 사이의 비선형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 p (Soil Resistance): 말뚝 단위 길이당 흙의 수평 저항력 (단위: kN/m)
- y (Deflection): 해당 깊이에서의 말뚝 수평 변위 (단위: m)
이 곡선은 말뚝 머리(Pile Head)의 전체 하중-변위 곡선이 아닙니다. 깊이별로 존재하는 지반의 물성치(스프링 특성)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2. 기본 가정 (Winkler 지반 모델)
p-y 곡선 해석의 핵심은 말뚝을 '탄성 지반 위의 보(Beam on Elastic Foundation)'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지반을 깊이 방향으로 독립된 수많은 비선형 스프링으로 모델링하며, 특정 깊이의 저항력은 오직 그 깊이의 변위에만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합니다.
II. p-y 곡선의 형태 및 공학적 특징
1. 비선형 거동 (Non-linear Behavior)
실제 흙은 탄성체가 아니기 때문에 변위가 커질수록 저항하는 방식이 달라집니다.
- 탄성 구간 (초기): 변위가 작을 때는 직선에 가까운 가파른 기울기를 보입니다.
- 소성 구간 (중기): 흙이 항복하기 시작하며 기울기가 완만해집니다.
- 극한 상태 (말기): 변위가 매우 커지면 일정한 극한 저항력(pult)에 수렴합니다.
2. 수평 지반 반력 계수 (k)
과거에는 지반 반력 계수(k)를 상수로 보았지만, p-y 해석에서는 변위에 따라 변하는 값으로 봅니다.
- 접선 계수 (Tangent Modulus): 곡선의 순간 기울기 (순간 강성)
- 할선 계수 (Secant Modulus): 원점과 특정 지점을 잇는 기울기 (평균 강성)
실제 컴퓨터 해석(FDM) 시에는 반복 계산을 통해 할선 계수(ks = p/y)를 사용하여 지반의 비선형성을 반영합니다.
III. 지반별 p-y 곡선 산정 (경험적 모델)
현장 재하 시험이 가장 정확하지만, 실무적으로는 지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경험식(Reese, Matlock 등)을 주로 사용합니다.
| 지반 종류 | 대표 제안식 | 주요 특징 |
|---|---|---|
| 사질토 (Sand) | Reese (1974) | 깊이가 깊어질수록 구속압이 커져 k와 pult가 증가함 (깊이에 비례) |
| 연약 점성토 | Matlock (1970) | 작은 변위에서 극한 저항력에 도달하며, pult는 비배수 전단강도(cu)에 비례 |
| 견고한 점성토 | Reese (1975) | 초기 기울기가 매우 가파르며, 파괴 형태(쐐기 파괴 등)를 고려함 |
IV. p-y 곡선의 적용 (해석 및 설계 검토)
1. 해석 방법 (유한 차분법, FDM)
LPILE이나 FB-MultiPier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석합니다. 말뚝을 여러 요소로 나누고, 각 깊이에 맞는 p-y 곡선을 할당한 뒤 반복 계산(Iteration)을 통해 수렴된 변위와 모멘트 값을 찾아냅니다.
2. 해석 결과의 활용 (핵심)
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두 가지를 반드시 검토해야 합니다.
- 사용성 검토 (말뚝 두부 확인):
지표면(말뚝 머리)에서의 수평 변위가 허용 변위(예: 25mm) 이내인지 확인합니다. - 구조 안정성 검토 (말뚝 본체 확인):
지표면 아래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최대 휨 모멘트(Mmax)를 확인하여, 말뚝 재료(철근, 콘크리트)가 파괴되지 않는지 검토합니다.
V. 결론
p-y 곡선 해석은 지반의 비선형성을 합리적으로 고려하여 말뚝의 사용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동시에 검토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입니다. 정확한 설계를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지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p-y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