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설계자료인 게시물 표시
1.개요 안녕하세요. Yun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자료는 2025년 하반기 적용 시중노임 단가입니다. 매년 대한건설협회에서는 상반기, 하반기 두 번에 걸쳐 건설부문 시중임금 자료…
깎기 비탈면 우기시 검토에서 침투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최근 50년 일 강우량을 조회해서 검토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료를 조회하는 방법, 내려받은 자료에서 검토에 필…
설계지반정수 산정의 전체적인 흐름은 이전 글에서 충분히 설명드렸었죠. 아직 잘 모르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전 글을 한번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원지반 토사의 설계지…
비탈면 안정성 검토의 첫걸음은 설계지반정수 를 산정하는 일입니다. 이 과정은 해당 지반이 얼마나 강한 전단강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결정하는 핵심 단계인데요. 다양한 자료…
앞으로 비탈면 설계, 특히 안정성 검토에 대해서 상세히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우선 여러분이 참고하실 설계기준은 [KDS 11 70 05 쌓기깎기(2020.8)] 입니다. 설계를…
가시설 설계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첫걸음입니다. 흙막이 공사, 동바리 설치 등 다양한 공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강재의 효율적인 수급 계획은 공사비 절감과 직결됩니다.…
비탈면 보강 공사에서 크레인 선정은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크레인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작업 반경, 작업 높이, 인양 중량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땅이 좀 이상한데요?" 연약지반이란 무엇일까요? 우리가 도로를 건설하거나 건물을 지으려고 땅을 파보면, 때로는 단단한 흙이 아닌 물컹물컹하거나 푹푹 빠지는 …
내진 설계, 왜 다운홀 시험이 필요할까? 우리가 건물을 짓거나 중요한 시설물을 건설할 때, 지진 이라는 예상치 못한 위험에 대비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튼튼한 내진 설계를 …